라벨이 웹 브라우저인 게시물 표시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 끄는 방법 (내 맘대로 컴퓨터 업데이트 설정)

이미지
 컴퓨터 쓰다 보면, 한 번쯤은 이런 경험 있으실 겁니다. 필자는 요즘 작업하다가 갑자기 강제 재부팅이 되어버리는 바람에, 저장도 못 한 채 작업물을 날려버린 적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회의 중에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시작돼버리기도 했고요. 이런 상황, 진짜 짜증 나죠. 보안을 위한 업데이트라는 건 알지만, 왜 하필 지금이냐고요? 그래서 필자는 아예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를 꺼버리고, 필요할 때만 수동으로 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오늘은 그 방법을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1. 서비스 설정에서 Windows 업데이트 끄기 이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확실한 방법입니다.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R 눌러서 실행 창을 열고 services.msc 입력 → 엔터 스크롤해서 Windows Update 항목을 찾아 더블 클릭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바꿔주시고 아래에 있는 중지 버튼도 눌러주세요 적용 → 확인 누르면 끝! 이제 윈도우가 멋대로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진짜 속이 다 시원하죠? 2.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로 차단 (Pro 사용자용) 만약 여러분이 윈도우 10/11 Pro 사용자라면 이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좀 더 강력하게 차단됩니다. 다시 윈도우 키 + R → gpedit.msc 입력 → 엔터 왼쪽 메뉴에서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업데이트 “자동 업데이트 구성” 항목을 더블 클릭 ‘사용함’으로 설정한 후, 아래 옵션에서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하지 않음” 선택 적용 → 확인 이 설정을 해두면, 윈도우는 앞으로 사용자가 허락하지 않으면 업데이트를 설치하지 않게 됩니다. 3. 네트워크 연결을 '측정된 연결'로 설정 (Home 사용자 추천) 혹시 Home 버전이시라면? 이 방법도 쓸 만합니다.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Wi-Fi (또는 이더넷)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클릭 아래로 쭉 내려보면 **‘측정된 연결로 설정’**이라는 항목이 있어요. 이걸 활성화해주면 ...

크롬 파이어 폭스 등 다양한 웹 브라우저를 비교하고 알아보자.

이미지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을 탑색하는 데 꼭 필요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웹 브라우저가 존재하며, 각 브라우저는 보안성, 기능, 성능,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본 글에서는 대표적인 웹 브라우저인 구글 크롬, 파이어폭스, 마이크로소프트 edge 를 비교하여, 어떤 브라우저가 사용자 요구에 가장 적합한지 분석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크롬 먼저 구글 크롬부터 알아봅시다. 크롬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크롬은 속도, 확장성, 그리고 구글 생태계와의 통합 덕분에 강력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크롬은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크롬 웹 스토어에는 다양한 생산성 도구, 비밀번호 관리자, 광고 차단기 등 유용한 확장 프로그램이 있어 사용자 맞춤형 브라우저 환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확장 프로그램의 설치와 관리도 간편하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크롬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로 뽑히는 것은 바로 속도입니다. 구글은 크롬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통해 빠른 페이지 로딩과 부드러운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제공합니다. 특히 구글의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연동성이 뛰어나며, 다중 탬 사용 시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크롬은 사용자의 보안을 중요시하기에, 샌드박스 기술을 활용해 각 탭을 독립적으로 실행합니다. 이를 통해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가 브라우저 전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크롬은 자동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보안 패치를 빠르게 적용해줍니다. 이제까지 장점을 소개했으니, 이번에는 간략하게 단점을 설명하겠습니다. 크롬은 메모리 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중 탭을 사용하거나 확장 프로그램을 많이 설치하면, 시스템 리소스를 많이 차지해, 구형 컴퓨터나 램이 작은 기기에서는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파이퍼폭스입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