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핫스팟이 너무 느릴 때 – 체감 속도 높이는 5가지 개선 팁

이미지
요즘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필수죠. 특히 노트북을 들고 외출했을 때 스마트폰 핫스팟 기능은 사실상 생명줄과도 같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데이터는 남아 있는데 핫스팟 속도가 너무 느릴 때입니다. 웹페이지는 로딩이 끝날 기미도 안 보이고, 업무용 메일 하나 확인하는 데도 몇 분씩 기다려야 한다면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죠. 필자도 카페에서 핫스팟으로 노트북을 연결했다가 줌 회의에 지각하고, 문서 하나 보내는 데 10분이나 걸린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스마트폰 핫스팟을 사용할 때 속도가 너무 느릴 경우 확인해볼 수 있는 핵심적인 개선 방법 5가지를 소개합니다. 1. 핫스팟 연결 대역폭 설정 (2.4GHz ↔ 5GHz 변경) 많은 스마트폰은 핫스팟을 2.4GHz 또는 5GHz 대역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2.4GHz는 범위가 넓지만 속도가 느리고, 5GHz는 범위는 좁지만 속도는 빠른 편입니다. 확인 및 설정 방법 (안드로이드 기준): 설정 > 연결 > 모바일 핫스팟 및 테더링 모바일 핫스팟 > 구성 > 대역 설정 ‘5GHz 대역(802.11ac)’ 선택 노트북이나 태블릿이 5GHz를 지원하는 기기라면, 무조건 5GHz로 설정하는 게 속도 면에서는 유리합니다. 필자는 2.4GHz로 연결되어 있던 걸 5GHz로 바꾸고 나서야 다운로드 속도가 5배 이상 개선됐습니다. 2. 스마트폰 위치 조정 (신호 세기 확보) 핫스팟 속도는 결국 기기와 기기 사이의 연결 품질과 스마트폰의 셀룰러 데이터 품질 두 가지 모두에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 주머니 속, 가방 안, 창문 없는 실내에 있으면 LTE나 5G 신호가 약해지면서 전송 속도도 뚝 떨어지죠. 개선 방법: 스마트폰을 탁 트인 창가나 외부에 가까운 위치로 옮기기 노트북이나 연결 기기와 가급적 가까운 거리에서 연결 주위에 벽, 가전제품, 금속류가 많은지 확인 필자는 스마트폰을 책상 아래에 두고 쓰다가 신호 세기가 약해져 핫스팟 속도가 현저히 떨어졌고, 그걸 창가 쪽으로만 옮겨놔도 속도가 안...

윈도우 화면 캡처 총정리 (단축키 포함)

윈도우 화면 캡처 총정리



 컴퓨터를 쓰다 보면, 한 번쯤은 이런 상황 있으실 겁니다.

어떤 화면을 저장하고 싶은데, 순간적으로 뭘 눌러야 할지 몰라 당황했던 경험 말이죠.


필자도 업무 중에 자료 화면을 정리하려다가, 캡처 방법을 몰라서 그냥 휴대폰으로 모니터를 찍은 적이 있습니다.

물론 결과물은 영 보기 안 좋았고요.


그래서 오늘은, 윈도우에서 쓸 수 있는 모든 화면 캡처 방법을 하나하나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단축키 중심으로, 누구나 따라할 수 있게 설명드릴게요.


1. 전체 화면을 한 번에 캡처하기 – Print Screen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Print Screen (PrtScn) 키를 누르면, 현재 모니터 화면 전체가 클립보드에 저장됩니다.

이후 Ctrl + V를 눌러서 그림판, 워드, 메신저 등에 붙여넣으면 됩니다.


단점: 이미지 파일로 바로 저장되진 않습니다.

장점: 설정 없이 바로 사용 가능


2. 현재 활성 창만 캡처하기 – Alt + Print Screen

여러 창이 열려 있을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Alt + PrtScn을 누르면, 현재 내가 보고 있는 창만 깔끔하게 캡처됩니다.

역시 클립보드에 저장되기 때문에, 그림판 등에 붙여넣어서 저장해야 합니다.


필자는 작업 중 특정 설정창만 캡처할 때 자주 쓰는 기능입니다.

불필요한 배경이 없어서 문서 작업할 때도 깔끔하더군요.


3. 지정한 영역만 캡처하기 – Windows + Shift + S

이 조합이 아마 가장 유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윈도우 10 이후 버전부터 지원되는 스크린샷 도구 단축키인데요.


Windows 키 + Shift + S를 누르면 화면이 살짝 어두워지고,

마우스로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해서 캡처할 수 있게 됩니다.


캡처된 이미지는 우측 하단에 미리보기로 뜨고, 자동으로 클립보드에도 복사됩니다.


필자는 이 기능을 가장 자주 씁니다.

특히 메신저로 빠르게 화면 일부를 공유할 때, 이보다 편한 게 없더군요.


4. 자동 저장까지 되는 전체 화면 캡처 – Windows + Print Screen

이건 조금 다릅니다.

캡처와 동시에 이미지 파일로 저장까지 되는 기능입니다.


Windows 키 + PrtScn을 누르면, 화면이 잠깐 깜빡이면서 전체 화면이 자동 저장됩니다.


이미지 파일은


내 PC > 사진 > 스크린샷 폴더

에 저장됩니다.


파일 형식은 PNG이고, 날짜별로 자동 정렬되기 때문에, 자료 관리에도 용이합니다.


5. 고급 캡처 도구 – 캡처 도구 앱(Snipping Tool)

윈도우에는 기본적으로 **‘캡처 도구’ 혹은 ‘Snipping Tool’**이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돼 있습니다.


검색창에서 "캡처 도구" 또는 "Snipping Tool"을 검색해 실행하면 되고,

다양한 캡처 방식이 가능합니다.


자유형 캡처


창 캡처


전체 화면


일정 시간 후 캡처(지연 기능)


특히 지연 캡처는, 메뉴를 열어둔 상태에서 캡처하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합니다.


필자도 단축키로는 불가능한, 특정 메뉴 동작을 보여주고 싶을 때는 이걸 사용합니다.


6. 전체 웹페이지 캡처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활용

만약 웹페이지 전체를 캡처하고 싶다면,

크롬이나 엣지 브라우저의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


GoFullPage (크롬 확장 프로그램)


Awesome Screenshot (기능 다양)


이런 툴을 사용하면, 스크롤되는 길이까지 한 번에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7. 게임/영상 캡처 – Xbox Game Bar

게임을 하거나 영상을 녹화하고 싶을 때는 Xbox Game Bar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 키 + G 를 누르면 게임 바가 열리고,

여기서 화면 캡처, 영상 녹화, 마이크 설정 등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은 기본적으로


내 문서 > 비디오 > 캡처 폴더에 저장됩니다.


게임 뿐 아니라 일반 프로그램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서, 필자도 강의 영상 녹화할 때 가끔 씁니다.


정리하며

지금까지 다양한 윈도우 화면 캡처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요약하자면,


전체 화면: PrtScn / Win + PrtScn


현재 창: Alt + PrtScn


일부 영역: Win + Shift + S


전문 도구: Snipping Tool


웹페이지 전체: 확장 프로그램


영상/게임: Win + G


어떤 방식이든, 내 작업 스타일에 맞는 방법을 하나쯤 정해두면 정말 편합니다.


필자도 한동안은 우왕좌왕하다가, 지금은 단축키 몇 개로 원하는 화면을 금방 캡처하곤 합니다.


여러분도 오늘 소개한 방법 중, 가장 잘 맞는 걸 골라 한 번 직접 써보시길 바랍니다.

막상 익숙해지면, 손이 먼저 움직이게 될 겁니다.


혹시 다른 윈도우 기능이 궁금하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그럼 다음 글에서 또 유용한 팁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느린 컴퓨터 부팅 속도 좋아지게 하는 방법

스마트폰 배터리 오래 사용하는 방법, 배터리 수명을 보호하자

간단하게 알아보는 컴퓨터 온도 관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