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에서 자동 완성 정보 삭제하는 방법

컴퓨터를 켤 때마다 카카오톡이 자동으로 켜지는 경험, 다들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겁니다. 처음엔 "편하네?" 싶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귀찮고 번거롭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특히 업무용 PC나 노트북을 쓸 때는 괜히 개인 카카오톡이 켜져 민망한 상황도 생기곤 하죠. 이럴 땐 굳이 복잡한 명령어나 시스템 설정을 건드릴 필요 없이, 몇 가지 간단한 설정만 조정해주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안전하게 따라 할 수 있는 카카오톡 PC버전 자동 실행 해제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1. 바탕화면에서 바로 시작
가장 먼저, 평소처럼 카카오톡을 실행합니다. 로그인까지 마친 후, 오른쪽 아래에 보이는 **톱니바퀴 아이콘(설정)**을 클릭해주세요.
카카오톡 설정 창이 뜨면, 왼쪽 목록에서 "일반" 탭을 선택합니다.
2. "자동 실행" 항목 해제
"일반" 탭에서 조금만 내려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보일 겁니다.
Windows 시작 시 자동 실행
이 항목에 체크가 되어 있다면, 컴퓨터를 켤 때마다 카카오톡이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된 상태입니다.
체크박스를 한 번 클릭해서 체크 해제해 주세요. 딱 이 한 줄로 자동 실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변경 후엔 별도의 저장 버튼 없이 그냥 닫으셔도 됩니다. 설정이 바로 반영되니까요.
3. 꼭 재부팅 후 확인해 보기
이제 컴퓨터를 한 번 재시작해 보세요.
정상적으로 설정이 반영됐다면, 다음 부팅 시에는 카카오톡이 저절로 켜지지 않을 겁니다.
혹시 그래도 자동 실행된다면, 한 가지 경우를 더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작업 관리자에 등록된 시작 프로그램입니다.
4. 작업 관리자에서 시작 프로그램 확인 (추가 점검용)
작업 관리자(Task Manager)를 열려면, Ctrl + Shift + Esc 키를 동시에 눌러주세요.
혹은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작업 관리자" 클릭으로도 가능합니다.
작업 관리자 창이 열리면, 상단 탭 중에서 **"시작프로그램"**을 선택합니다.
목록을 아래로 스크롤하여 "KakaoTalk" 항목을 찾습니다.
해당 항목이 "사용" 상태로 되어 있다면, 마우스 우클릭 후 **"사용 안 함"**으로 바꿔주세요.
이 설정까지 비활성화하면, 시스템 부팅 시 카카오톡은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보통 위의 두 방법 중 첫 번째만 해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PC 상황에 따라 시작 프로그램에 한 번 등록되면 자동 실행이 유지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둘 다 확인해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5. 자동 실행 설정은 꼭 필요할 때만 다시 켜기
가끔은 반대로, 자동 실행을 다시 켜고 싶어질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땐 같은 방법으로 설정에서 다시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단, 회사 PC 등에서 무심코 자동 실행을 켜두면 로그인한 채로 창이 열려버려 프라이버시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꼭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마무리하며
자동 실행은 편리하긴 하지만, 때로는 불필요한 리소스를 쓰거나, 개인 정보 노출 위험도 따릅니다.
특히 공용 컴퓨터나 업무용 장비에서는 더욱 신중하게 설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설정은 언제든 다시 바꿀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해보세요.
필요한 건 딱 두 가지였습니다.
설정에서 체크 해제, 그리고 작업 관리자 점검.
이 두 가지만 기억하셔도 충분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