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소리가 너무 작게 들릴 때 – 꼭 확인해야 할 설정 5가지

이미지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하다 보면, 상대방 목소리가 너무 작게 들리거나 아예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필자도 최근에 이런 상황을 겪었습니다. 상대는 “잘 들리는데?”라고 하는데 정작 내 쪽에서는 속삭이는 듯한 목소리만 들리는 겁니다. 볼륨을 올려도 해결이 안 되고, 한참을 헤매다가 겨우 문제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통화 음질 문제는 기기 고장으로 보기 전에 기본 설정과 간단한 점검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통화 중 소리가 작게 들리거나 아예 안 들리는 문제를 겪을 때 사용자가 직접 확인해볼 수 있는 핵심 점검 항목 5가지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통화 볼륨 설정 확인 생각보다 자주 놓치는 부분입니다. 우리는 음악이나 영상 볼륨만 따로 조절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마트폰에는 통화 전용 볼륨이 따로 존재합니다. 볼륨 버튼을 눌러도 통화 중이 아닐 경우 해당 볼륨이 조절되지 않는다는 점, 기억하셔야 합니다. 확인 방법: 통화 중일 때 볼륨 업 버튼을 눌러 통화 볼륨을 확인 설정 > 소리 및 진동 > 볼륨 > ‘통화’ 항목 확인 ‘청각 보조’ 기능이 있는 경우, 해당 기능을 조정해 볼륨 증폭 필자의 경우, 통화 중이 아닐 때 볼륨을 높여놨다고 안심했는데, 막상 전화가 오면 통화 볼륨은 낮게 설정돼 있더군요. 2. 수화부 스피커 이물질 또는 막힘 여부 스마트폰 상단의 수화부(통화 스피커) 부분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여 소리를 막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특히 오래 쓴 폰이나, 케이스를 자주 바꾸는 기기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확인 방법: 수화부 위치(앞면 상단 작은 구멍)를 육안으로 확인 먼지나 이물질이 보이면 부드러운 붓, 테이프 등으로 청소 이어폰으로 통화 시 소리가 정상이라면 수화부 문제 가능성 ↑ 필자는 화면 보호 필름을 잘못 붙여서 수화부 일부를 가린 적도 있었는데, 그것만 살짝 잘라낸 후 바로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3. 블루투스 연결 확인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차량용 블루투스가 알게 모르게 스마트폰과 연결된 상태...

윈도우에서 소리가 안 날 때 확인할 설정 및 해결법

윈도우에서 소리가 안 날 때 확인할 설정 및 해결법


영상을 틀었는데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더군요.

처음엔 스피커 선이 빠진 줄 알고 확인했지만 문제없었습니다.

소리를 최대치로 올려도 아무런 반응이 없었고, 유튜브든 게임이든 모든 음성 출력이 되지 않았습니다.


필자도 그런 경험이 있습니다.

처음엔 단순한 오류겠거니 했지만, 문제는 설정 한 줄 때문이었습니다.

기본 출력 장치가 엉뚱한 쪽으로 설정되어 있었던 거죠.


이처럼, 윈도우에서 소리가 나지 않을 때는 단순한 하드웨어 문제보다는

시스템 설정, 출력 장치, 드라이버 문제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윈도우에서 소리가 안 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5가지 항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글 하나면, 대부분의 사운드 문제는 해결하실 수 있을 겁니다.


1. 기본 출력 장치 확인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건 기본 재생 장치입니다.

윈도우는 복수의 오디오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의도와 상관없이 다른 장치를 기본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니터 스피커나 HDMI 출력이 기본값으로 지정되어 있으면,

실제 사용하는 스피커에서는 아무 소리도 나지 않습니다.


확인 방법 (Windows 10/11 기준)


작업표시줄 우측 스피커 아이콘 우클릭


‘소리 설정 열기’ 또는 ‘소리 설정’ 클릭


출력 장치 항목에서 실제 사용하는 장치를 선택


또는 제어판 방식으로도 가능합니다: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소리 > 재생 탭


원하는 장치 선택 후 ‘기본값으로 설정’ 클릭


적용 > 확인


필자도 회사에서 노트북을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했더니,

HDMI 오디오가 자동 지정되어 정작 헤드셋에선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았습니다.

기본 장치만 바꿔줘도 바로 해결됩니다.


2. 볼륨 믹서 및 음소거 설정 점검

소리가 안 날 때, 전체 시스템 음량은 켜져 있어도

특정 앱이나 시스템 사운드만 음소거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게임이나 영상 편집 툴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확인 방법


작업표시줄 우측 스피커 아이콘 우클릭


‘볼륨 믹서 열기’ 클릭


시스템 사운드, 앱별 볼륨 설정 확인


특정 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음소거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니,

해당 프로그램의 설정에서도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의 탭이 음소거 상태라면 유튜브 소리도 들리지 않게 됩니다.


3. 오디오 드라이버 상태 확인 및 재설치

오디오 드라이버가 손상되었거나,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호환되지 않게 되면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거나 재설치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방법 1: 장치 관리자에서 업데이트


시작 > 장치 관리자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 항목 클릭


사운드 장치 우클릭 > 드라이버 업데이트


자동 검색 또는 수동 설치


방법 2: 드라이버 제거 후 재설치


같은 항목에서 ‘장치 제거’ 클릭


재부팅 후 윈도우가 자동으로 드라이버 재설치


또한, 제조사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오디오 드라이버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방법도 안정적입니다.

필자는 한 번 Realtek 오디오 드라이버 충돌로 인해

소리가 전혀 안 났던 적이 있었고, 해당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서 해결한 적 있습니다.


4. 오디오 서비스 작동 여부 확인

윈도우에서 오디오 관련 서비스가 비활성화되면

아무리 장치가 정상이라도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이럴 땐 관련 서비스를 수동으로 재시작하거나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게 좋습니다.


확인 방법


Windows 키 + R > services.msc 입력 후 엔터


‘Windows Audio’ 서비스 찾기


상태가 ‘실행 중’인지 확인


중지되어 있다면 우클릭 후 ‘시작’ 클릭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변경


관련 서비스인 ‘Windows Audio Endpoint Builder’도 함께 확인해주세요.

이 서비스가 꺼져 있으면 오디오 장치 인식 자체가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5. 스피커/헤드폰 연결 문제 점검

가끔은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물리적인 연결 문제가 원인일 때도 있습니다.

스피커 선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헤드셋 단자가 헐거워 접촉이 불안정한 경우엔

윈도우는 정상이라도 소리는 나지 않습니다.


점검 포인트


스피커 전원 켜짐 여부


3.5mm 잭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


헤드폰을 사용 중이라면 Bluetooth 연결 상태 확인


다른 장치에서 동일한 출력 장치 테스트


또한, 헤드폰 단자가 이물질로 인해 오작동하는 경우도 있으니,

먼지나 이물 제거도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

윈도우에서 소리가 안 나는 문제는

생각보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중요한 회의 중에, 영상 편집 도중에, 게임 중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꽤 당황스럽죠.


정리하자면,


기본 출력 장치 확인 – 사용 중인 장치가 맞는지


볼륨 믹서 확인 – 앱별 볼륨 설정 문제


드라이버 상태 확인 – 충돌 및 손상 여부


오디오 서비스 작동 여부 – 비활성화된 서비스는 없는지


물리적 연결 점검 – 선, 블루투스, 잭 상태 등


필자도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본 경험이 있기에

가장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체크리스트만 담았습니다.

오늘 이 내용을 참고해 문제를 해결하셨다면,

다음엔 더 복잡한 문제도 당황하지 않으실 겁니다.


오늘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윈도우 업데이트 후 사운드 장치가 사라졌을 때의 대처법을 소개드릴 예정입니다.

필요한 주제가 있다면 언제든 요청해 주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느린 컴퓨터 부팅 속도 좋아지게 하는 방법

스마트폰 배터리 오래 사용하는 방법, 배터리 수명을 보호하자

간단하게 알아보는 컴퓨터 온도 관리 방법